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공부33

오페론은 무엇일까?(억제성,유도성/음성조절,양성조절) 저번 글에서는 유전체사업과 생물정보학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전자 발현 조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세균은 전사 조절 통해 환경 변화에 대응 대장균에서는 세균의 생존에 필요한 트립토판 아미노산이 주변 환경으로부터 제공되지 못하면 다른 물질로부터 트립토판을 합성합니다. 만약 사람이 트립토판이 충분한 음식을 섭취하면 세균은 트립토판을 만드는 것을 중단합니다. 트립토판 합성 대사 경로는 2가지 방식으로 조절됩니다. 첫 번째, 세포는 이미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트립토판 합성 경로에서 첫 번째 효소의 활성은 트립토판에 의해 억제됩니다. 즉 세포 내에 트립토판이 축적되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해 더 이상 트립토판이 합성되지 않게 합니다. 이것을 되먹임 억제(feedback in.. 2023. 7. 21.
비암호화 DNA(전이인자, 연관서열)와 DNA의 중복,재배열,돌연변이는 뭘까? 저번 글에서는 유전체 사업과 생물정보학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어서 비암호화 DNA, 그리고 DNA의 돌연변이 등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1. 다세포 진핵생물은 비암호화 DNA와 많은 다유전자군 가진다 유전자와 연관된 조절 부위와 인트론은 사람 유전체 중 약 5%와 20%를 차지합니다. 나머지는 기능 유전자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비암호화 DNA 서열, 위유전자들(pseudogenes)을 포함합니다. 여기서 위유전자는 유전자였지만 오랜 시간 동안 돌연변이를 축적해 더 이상 기능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유전자 사이 DNA는 주로 반복서열 DNA(repetitive DNA)로 반복되어 나타납니다. 비암호화 DNA는 쓰레기 DNA라고도 불렸으나 이 부위는 여러 유.. 2023. 7. 21.
유전체사업과 생물정보학은 무엇일까?(유전체 비교) 저번 글에서는 DNA 생명공학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전체의 진화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1. 사람 유전체사업 전체 유전자의 성질, 상호작용 등을 연구하는 것을 유전체학(genomics)라고 합니다. 유전체학에 의해 많은 양의 정보가 쌓이고 있고, 이것을 분석하기 위해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분야도 생겨났습니다. 생물정보학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데이터를 저장, 분석하는 것입니다. 유전체의 해독 작업은 1990년 사람 유전체사업(Human Genome Project)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2003년에는 대강의 유전체 해독이 완료되었고, 2006년에는 마지막으로 1번 염색체가 해독되었습니다. 유전체 지도 작성의 목표는 각 염색체의 염기서열 전.. 2023. 7. 20.
DNA 생명공학 기술은 어떻게 활용될까?(복제,줄기세포 등) 저번 글에서는 유전자 발현 분석과 기능 결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복제된 생물체, 줄기세포의 이용, DNA 생명공학 기술의 응용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1. 복제된 생물체와 줄기세포의 이용 다세포 생물체 복제에서 이 '복제'(cloning)라는 것은 한 개의 세포를 공여한 부모와 유전적으로 같은 생물체를 하나 이상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전자 클로닝이나 무성생식 세포를 유전적으로 같은 세포로 분열하게 하는 세포 복제(cell cloning)와 헷갈리지 않게 개체 복제(organismal cloning)라고도 부릅니다. 개체 복제가 주목받는 이유는 여러 조직으로 분화 가능한 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기대 때문입니다. 여기서 줄기세포(stem cell)는 스스로 무한정으로 재생되고 하나.. 2023. 7. 20.
유전자 발현 분석과 기능 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RT-PCR,DNA microarray,CRISPR-Cas9 등) 저번 글에서는 DNA 클로닝과 PCR이 무엇이고, 클론된 유전자를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전자 발현 분석과 기능 결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전자 발현과 기능 연구 위한 DNA 기술 이용 -유전자 발현 분석하기 다세포 생물의 여러 세포 형태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세포에서 어떤 유전자들이 발현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일반적으로 만들어지는 mRNA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먼저 단일 유전자 발현 연구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초파리 배아 발달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유전자를 클로닝했을 때, 배아의 어떤 부분에서 해당 mRNA가 발견될지 알아야 합니다. 추적 가능한 상보적 서열을 가진 분자를 이용해 핵산 혼성화를 하면 그 mRNA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핵.. 2023. 7. 19.